through sensory experiences. By providing a personalized and interactive experience,
the app displays letters from older generations dealing with the wisdom of life contained in Hanbok.
Users can inspire knowledge and interest in Hanbok by deeply immersing themselves in nostalgic stories.
Furthermore, they can actively engage in preserving and creating storytelling content related to traditional Hanbok
by exchanging various memories, experiences, and opinions through communication features.
앱은 개인화되고 인터랙티브한 경험과 함께 한복 속 삶의 지혜를 이야기하는 어르신들의 편지를 전시합니다.
사용자는 향수를 자극하는 이야기 속에 깊이 몰입하여 한복에 대한 지식과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기억과 경험, 의견을 교환하는 소통 기능을 통해 전통 한복과 관련된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보존하고 창작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 개요
트렌드를 선도하는 한국의 Z세대는 아날로그 시대의 기억을 간직한 마지막 세대입니다.
그리고 그들의 할머니, 할아버지 세대인 한국의 기성세대는 일상 속에서 전통 한복을 경험한 마지막 세대입니다.
시대가 디지털화됨에 따라 이 두 세대 간의 소통이 단절되었습니다.
그 결과, 전통 한복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가 희미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자연관’, ‘공동체 의식’, ‘예의의 원칙’과 같은 한복에 내재된 가치들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디자인 진술
이제 디지털 미디어는 잊혀진 기억을 보존하고, 그 속에 담긴 한국의 무형 문화유산을 미래 세대에게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TO YOU>는 감각적 경험을 통해 한복의 전통적인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는 스토리텔링 플랫폼입니다.
앱은 개인화되고 인터랙티브한 경험과 함께 한복 속 삶의 지혜를 이야기하는 어르신들의 편지를 전시합니다.
사용자는 향수를 자극하는 이야기 속에 깊이 몰입하여 한복에 대한 지식과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기억과 경험, 의견을 교환하는 소통 기능을 통해 전통 한복과 관련된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보존하고 창작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한국인들은 한복을 통해 역사적, 개인적 고난을 극복해왔습니다. 그들의 철학은 한복에 반영되어 수천 년 동안 전해져 왔습니다.
따라서 전통 한복의 진정한 가치는 그 안에 내재된 무형적 의미(자연관, 예의의 원칙, 공동체 의식)에서 비롯됩니다.
그러나 이미지 중심의 일시적, 피상적인 홍보로 인해, 한국의 Z세대는 한복의 외형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한복에 담긴 전통적인 의미와 가치는 간과되고 있습니다.
한복에 대한 Z세대의 전통 의식 부족을 해결하는 것이 문화적 지속 가능성을 위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디자인 목표
1. 전통 한복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디지털 플랫폼 제공
2. 전통 한복의 의미에 대한 깊이 있고 지속적인 탐구 기회 제공
3. 한복 스토리텔링 콘텐츠에 적극적인 참여 유도

사용자 리서치 & 인사이트
'한국의 Z세대'는 199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 사이에 한국에서 태어나고 성장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지칭합니다.
이들은 이야기 전달방식에 있어 높은 접근성을 가진 몰입형 ‘디지털 미디어’를 선호하면서도,
동시에 ‘아날로그 형식이나 콘텐츠’에 대한 향수(Nostalgia)를 지니는 이중적인 특성을 보입니다.
이는 디지털 시대에 태어난 알파 세대와 달리, Z세대는 어린 시절 아날로그 시대를 마지막으로 경험하며
그 속에서 이루어진 인간적인 대화, 관계, 그리고 만남을 직접 겪었기 때문입니다.
인사이트: 스토리텔링을 통해 '향수(Nostalgia)'를 자극함으로써 Gen Z의 전통 한복에 대한 관심 유도 가능

사용자 인터뷰
Q. 한복 스토리텔링 플랫폼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1. 전통적인 소재를 다루는 앱이라면 솔직히 지루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임선빈, 26세, 직장인)
A2. 스토리텔링 콘텐츠가 흥미롭다고 해도, 제가 애착을 가지고 계속 사용할 수 있을까요? (박채원, 24세, 대학생)
A3. 저는 인스타그램처럼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앱이었으면 좋겠어요. (김은진, 26세, 대학생)

페르소나 <Nora Park>26세, 간호사, 한국 출신, 싱글, 동기부여: 추억
"인터넷에서 찾아보지 않으면, 옷고름을 올바르게 맬 자신이 없어요."
특징: 독립적, 내성적, 경쟁적, 논리적, 판단적
기술: 소셜 네트워크, 모바일 앱, 뉴테크놀로지
불만: 전통 한복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관심과 지식 부족, 과거에 대한 향수, 건조하고 외로운 감정
페인 포인트: 전통 한복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관심과 지식 부족, 한복에 대한 지식과 관심을 자극할 지속적, 적극적인 방법에 대해 무지
니즈: 전통 한복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흥미 자극, 한복에 대한 지식 증진, 기성 세대와 문화적 소통

사용자 여정
1. 동기부여(Motivation)
'Nora'는 직장 생활로 인해 감정적 고립과 외로움을 느끼던 와중에
우연히 인스타그램에서 한복 스토리텔링 플랫폼을 홍보하는 릴스을 접하게 되었다.
2. 목적(Purpose)
릴에서 영감을 받은 'Nora'는 <TO YOU> 앱을 찾아 설치했다.
3. 마무리(End)
앱을 통해 느낀 향수(Nostalgia)를 바탕으로, 'Nora'는 전통 한복에 대한 지식과 관심을 키워갔다.
또한, 그녀는 한복, 기성세대와 관련된 자신의 기억을 회상하고 기록하는 방식으로
스토리텔링 콘텐츠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현재 상황(As-Is) > 해결 방안(To-Be)
1. 전통 소재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관심 부족 > 기성세대의 손글씨, 음성, 사진 등 생생한 상호작용 기능으로 감정 자극 및 관심 유도
2. 지속적인 앱 사용 동기 부족 > 진정성 있는 스토리텔링과 개인 맞춤형 경험 제공으로 사용자 충성도 강화
3. 스토리텔링 참여 기회 부족 > 댓글, 좋아요, 공유 등 커뮤니티 기능을 통해 자율적인 소통과 사용자 경험 증진

UX 디자인 과정
사이트맵

UX 디자인 과정
와이어 프레임

UX 디자인 과정
프로토타입 제작

UI 디자인 과정
스타일 가이드
LOGO: 한국 전통 문양과 실의 형태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된 로고는 Z세대와 기성 세대의 조화를 나타냅니다.
COLOUR SYSTEM: 채도가 낮은, 따뜻하고 아늑한 색상들의 조합은
할머니, 할아버지를 떠오르게 하며 향수(Nostalgia)를 자아내는 분위기를 만듭니다.

UI 디자인 과정
스타일 가이드
TYPO SYSTEM: 본문용 서체로는 돌출된 형태나 곡선이 없어 가독성이 뛰어난 Noto Sans와 Noto Sans CJK KR을 사용하여
온라인 미디어 환경에 최적화했습니다. 세리프 서체인 Noto Serif는 장식용으로 사용되어 디자인에 클래식하고 정교한 변화를 더해줍니다.

UI 디자인
Icon & Splash

UI 디자인
Login & Sign Page
개인적 관심사에 기반한 콘텐츠 전달 - 개인 맞춤형 경험 제공

UI 디자인
Onboarding
앱 사용 가이드 제공 - 인터랙티브한 정보 전달

UI 디자인
Home
오늘의 편지 알림 - 개인 맞춤형 경험 제공

UI 디자인
Daily Letter
기성 세대의 실제 음성과 손글씨를 사용한 매일 편지 서비스 - 인터랙티브한 정보 전달

UI 디자인
Daily Letter
좋아요, 댓글, SNS 공유 - 커뮤니티 기능

UI 디자인
My Letter
날짜 별 받은 편지 수집, 북마크 기능 - 개인 맞춤형 경험 제공

UI 디자인
Our Story
한복 관련 경험이나 추억, 편지 감상 기록/공유 기능 - 커뮤니티 기능

UI 디자인
Hanbok Archive
한복 심층 탐구 아카이브 - 인터랙티브한 정보 전달

UI 디자인
My Page
앱 환경 설정 기능 - 개인 맞춤형 경험 제공

프로젝트 전시 보드 1

프로젝트 전시 보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