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arrative Threads of Hanbok> is a storytelling project that conveys the traditional meaning and value
of Hanbok through sensory experiences. The aim of this project is to reignite the interest of Korean Gen Z
in traditional Hanbok by evoking their nostalgia. To achieve this, the project presents stories
of life's wisdom embedded in Hanbok in the form of letters from the older generation.
The stories of grandmothers and grandfathers who have wisely overcome difficult times
are displayed through Reels, Application, and publication.
of Hanbok through sensory experiences. The aim of this project is to reignite the interest of Korean Gen Z
in traditional Hanbok by evoking their nostalgia. To achieve this, the project presents stories
of life's wisdom embedded in Hanbok in the form of letters from the older generation.
The stories of grandmothers and grandfathers who have wisely overcome difficult times
are displayed through Reels, Application, and publication.
<한복의 서사적 실>은 감각적 경험을 통해 한복의 전통적인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는 스토리텔링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어린 시절의 향수를 자극하여 한국의 Z세대가 전통 한복에 더욱 관심을 갖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한복에 담긴 삶의 지혜를 기성 세대의 편지 형식으로 풀어냅니다.
어려운 시기를 현명하게 이겨낸 할머니, 할아버지의 이야기는 릴스, 애플리케이션, 출판물을 통해 소개됩니다.
이 프로젝트는 어린 시절의 향수를 자극하여 한국의 Z세대가 전통 한복에 더욱 관심을 갖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한복에 담긴 삶의 지혜를 기성 세대의 편지 형식으로 풀어냅니다.
어려운 시기를 현명하게 이겨낸 할머니, 할아버지의 이야기는 릴스, 애플리케이션, 출판물을 통해 소개됩니다.



프로젝트 맥락
한국인들은 한복을 통해 역사적, 개인적 고난을 극복해왔습니다. 그들의 철학은 한복에 반영되어 수천 년 동안 전해져 왔습니다.
따라서 전통 한복의 진정한 가치는 그 안에 내재된 무형적 의미(자연관, 예의의 원칙, 공동체 의식)에서 비롯됩니다.
그러나 이미지 중심의 일시적, 피상적인 홍보로 인해, 한국의 Z세대는 한복의 외형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한복에 담긴 전통적인 의미와 가치는 간과되고 있습니다.
한복에 대한 Z세대의 전통 의식 부족을 해결하는 것이 문화적 지속 가능성을 위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국인들은 한복을 통해 역사적, 개인적 고난을 극복해왔습니다. 그들의 철학은 한복에 반영되어 수천 년 동안 전해져 왔습니다.
따라서 전통 한복의 진정한 가치는 그 안에 내재된 무형적 의미(자연관, 예의의 원칙, 공동체 의식)에서 비롯됩니다.
그러나 이미지 중심의 일시적, 피상적인 홍보로 인해, 한국의 Z세대는 한복의 외형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한복에 담긴 전통적인 의미와 가치는 간과되고 있습니다.
한복에 대한 Z세대의 전통 의식 부족을 해결하는 것이 문화적 지속 가능성을 위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목표 대상
'한국의 Z세대'는 199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 사이에 한국에서 태어나고 성장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지칭합니다.
이들은 이야기 전달방식에 있어 높은 접근성을 가진 몰입형 ‘디지털 미디어’를 선호하면서도,
동시에 ‘아날로그 형식이나 콘텐츠’에 대한 향수(Nostalgia)를 지니는 이중적인 특성을 보입니다.
이는 디지털 시대에 태어난 알파 세대와 달리, Z세대는 어린 시절 아날로그 시대를 마지막으로 경험하며
그 속에서 이루어진 인간적인 대화, 관계, 그리고 만남을 직접 겪었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이야기 전달방식에 있어 높은 접근성을 가진 몰입형 ‘디지털 미디어’를 선호하면서도,
동시에 ‘아날로그 형식이나 콘텐츠’에 대한 향수(Nostalgia)를 지니는 이중적인 특성을 보입니다.
이는 디지털 시대에 태어난 알파 세대와 달리, Z세대는 어린 시절 아날로그 시대를 마지막으로 경험하며
그 속에서 이루어진 인간적인 대화, 관계, 그리고 만남을 직접 겪었기 때문입니다.

전통 한복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결과, '스토리텔링'을 통해 '향수(노스텔지어)'를 자극함으로써 전통 한복에 대한 Z세대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는 인사이트가 발견되었습니다.
'전통 한복의 무형적 의미와 그것을 통해 역경을 극복한 기성 세대의 경험'이 향수를 자극하는 이야기의 주제로 도출되었습니다.
'편지 형식(아날로그적 글쓰기)'이 이야기 형식으로 채택되었고, 'SNS와 인터랙티브 플랫폼의 결합(디지털 매체)'이 전달 매체로 구상되었습니다.
'전통 한복의 무형적 의미와 그것을 통해 역경을 극복한 기성 세대의 경험'이 향수를 자극하는 이야기의 주제로 도출되었습니다.
'편지 형식(아날로그적 글쓰기)'이 이야기 형식으로 채택되었고, 'SNS와 인터랙티브 플랫폼의 결합(디지털 매체)'이 전달 매체로 구상되었습니다.

프로젝트 진술 & 목표
<한복의 서사적 실>은 감각적 경험을 통해 한복의 전통적인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는 스토리텔링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한국의 Z세대로부터 전통 한복에 대한 관심을 되살리기 위해 그들의 향수(노스텔지어)를 자극하는 것입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프로젝트는 한복에 내재된 삶의 지혜를 기성 세대의 편지 형식으로 제공합니다.
어려운 시기를 지혜롭게 극복한 할머니와 할아버지들의 이야기는 릴스,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출판물을 통해 전시됩니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한국의 Z세대로부터 전통 한복에 대한 관심을 되살리기 위해 그들의 향수(노스텔지어)를 자극하는 것입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프로젝트는 한복에 내재된 삶의 지혜를 기성 세대의 편지 형식으로 제공합니다.
어려운 시기를 지혜롭게 극복한 할머니와 할아버지들의 이야기는 릴스,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출판물을 통해 전시됩니다.

프로젝트 의의
제안된 프로젝트는 다양한 매체의 인터랙티브 기능을 통해 Z세대가 기성 세대의 경험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를 통해 관객이 정서적 변화를 경험하고 한복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키는 계기를 제공하며,
나아가 한복의 전통적 의미와 가치를 보존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를 통해 관객이 정서적 변화를 경험하고 한복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키는 계기를 제공하며,
나아가 한복의 전통적 의미와 가치를 보존하는 데 기여합니다.


Outcome 1: 인스타그램 릴스
한복에 담긴 삶의 지혜를 통해 어려운 시절을 극복한 어르신들의 이야기를 편지 형식으로 전달하는 릴스(Reels)입니다.
한복 스토리텔링 플랫폼 <TO YOU>를 홍보하며, 시청자를 더 넓은 이야기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시청자는 SNS의 접근성, 몰입감, 상호작용 기능을 통해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쉽고 간편하게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율적인 참여와 의미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플랫폼으로 자연스럽게 이끌리게 됩니다.
한복 스토리텔링 플랫폼 <TO YOU>를 홍보하며, 시청자를 더 넓은 이야기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시청자는 SNS의 접근성, 몰입감, 상호작용 기능을 통해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쉽고 간편하게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율적인 참여와 의미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인터랙티브 플랫폼으로 자연스럽게 이끌리게 됩니다.


Outcome 2: 한복 스토리텔링 플랫폼, TO YOU
<TO YOU>는 한복의 전통적 의미와 가치를 감각적인 경험을 통해 전달하는 스토리텔링 플랫폼입니다.
앱은 개인화되고 인터랙티브한 경험과 함께 한복 속 삶의 지혜를 이야기하는 어르신들의 편지를 전시합니다.
사용자는 향수를 자극하는 이야기 속에 깊이 몰입하여 한복에 대한 지식과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기억과 경험, 의견을 교환하는 소통 기능을 통해 전통 한복과 관련된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보존하고 창작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앱은 개인화되고 인터랙티브한 경험과 함께 한복 속 삶의 지혜를 이야기하는 어르신들의 편지를 전시합니다.
사용자는 향수를 자극하는 이야기 속에 깊이 몰입하여 한복에 대한 지식과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기억과 경험, 의견을 교환하는 소통 기능을 통해 전통 한복과 관련된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보존하고 창작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Outcome 3: 출판물 <한복의 서사적 실>
어려운 시절을 극복한 어르신 세대의 편지를 통해 한복에 담긴 삶의 지혜를 전달하는 출판물입니다.
출판물에 담긴 할머니, 할아버지의 개성있는 경험, 말투, 손글씨, 사진을 통해
독자들은 전통 한복이 지닌 무형적 의미를 깊이 탐구하고, 그 가치를 직접 경험할 수 있습니다.
This portfolio focuses on the core concept and planning of the project <The Narrative Threads of Hanbok>.
Elements such as project identity (logo, color scheme, visual style), typography,
and sophisticated, professional image editing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to enhance effective communication and create an immersive experience.
Elements such as project identity (logo, color scheme, visual style), typography,
and sophisticated, professional image editing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to enhance effective communication and create an immersive experience.
이 포트폴리오는 <한복의 서사적 실> 프로젝트의 핵심 컨셉과 기획 설명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습니다.
프로젝트 아이덴티티(로고, 색상, 시각적 스타일), 타이포그래피, 감각적이고 전문적인 이미지 편집 등
디자인 연출과 비주얼 프레젠테이션 요소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과 몰입감을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아이덴티티(로고, 색상, 시각적 스타일), 타이포그래피, 감각적이고 전문적인 이미지 편집 등
디자인 연출과 비주얼 프레젠테이션 요소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과 몰입감을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Date: 2023.08 - 24.04
Medium: Photoshop, Illustrator, Indesign, Primere Pro, Figma
Project Contribution: 100% Personal Work